반응형

2023/07/30 3

뇌사와 식물인간의 차이

간혹 사람들이 뇌사와 식물인간이 어떻게 다른 지 헷갈려 할 때가 있습니다. 의식이 다시 돌아올 수 있는 상태가 어떤 것인지? 장기 기증은 어떤 상태일 때 할 수 있는지 잘 모르기도 합니다. 오늘은 뇌사판정은 어떻게 하는지, 뇌사와 식물인간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뇌사 1) 뇌사의 정의 뇌사는 뇌의 모든 기능이 영구적으로 소실된 상태를 말합니다. 정확하게 설명하자면 뇌사는 심장박동과 호흡이 유지되더라도 뇌의 의식, 감각, 운동, 자율신경 기능 등이 모두 소실된 상태입니다. 뇌사는 흔히 뇌졸중, 뇌출혈, 심장마비, 교통사고, 익사 등과 같은 심각한 뇌손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약 누군가가 주치의로부터 뇌사판정을 받았다고 한다면 그것은 환자가 다시 깨어날 확률이 거의 없는 상태라는 ..

신체건강 2023.07.30

뇌졸중, 뇌경색과 뇌출혈 구분하기

뇌줄중으로 누군가가 쓰러져서 응급실로 실려간 사람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우리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이런 분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흔히 ‘풍을 맞았다’라는 말로도 표현되는 뇌졸중은 환자 뿐 아니라 가족과 사회적 부담을 주는 질환입니다. 따라서 뇌졸중에 대해서 제대로 학습해 어떤 원인에서 뇌졸중이 발생하는지를 파악하여 뇌혈관 건강을 지켜야 합니다. 1. 뇌혈관의 기능 뇌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은 뇌동맥입니다. 뇌동맥은 경동맥에서 갈라져 나와 뇌로 혈액을 공급하게 됩니다. 뇌동맥은 뇌의 겉면(대뇌겉질)을 따라 퍼져 나가고, 전두엽, 측두엽, 후두엽, 두정엽, 해마, 시상하부, 중뇌, 소뇌, 뇌간 등 뇌의 다양한 영역에 혈액을 공급하는 아주 중요한 혈관입니다. 뇌동맥이 어떠한 이유로 ..

신체건강 2023.07.30

골다공증, 갱년기 이후 증가, 골절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

우리나라의 골다공증 유병률은 2020년을 기준으로 1000명 중 31.5명으로 엄청난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폐경기 여성에게 가장 흔하게 올 수 있는 질환입니다. 그 외에도 남성, 어린이, 청소년, 노인 등 누구라도 이환 될 수 있는 아주 흔한 질환입니다. 골다공증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과 예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 골다공증이라는 질환을 관리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골다공증의 원인 중년 여성이 폐경기가 되면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감소하게 됩니다. 원래 에스트로겐의 기능은 뼈의 형성을 촉진하고 뼈의 흡수되어 골밀도가 감소하는 것을 억제합니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 폐경기가 오게 되고 결국 에스트로겐이 감소하면서 뼈의 양이 감소하고 뼈의 강도가 약해집니다. 그 외에도 나이가 들면 골다공..

신체건강 2023.07.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