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3/10/10 7

발진티푸스, 해외여행 시 주의, 감염 시 보건소에 즉시 신고

발진티푸스는 리켓치아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열성 질환입니다. 발진티푸스는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이지만,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합니다. 한국의 경우, 2022년 기준으로 발진티푸스 환자가 약 20명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1. 발진티푸스 유병율 발진티푸스는 전 세계적으로 연간 약 100만 건으로 추정됩니다. 발진티푸스는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며,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에서 가장 많은 환자가 발생합니다. 2. 원인 발진티푸스의 원인은 리켓치아라는 세균으로 바퀴벌레, 벼룩 등에서 발견되며, 사람은 감염된 바퀴벌레나 벼룩에 물리거나 그들의 배설물에 노출되면 감염될 수 있습니다. 3. 증상 1~2주의 잠복기 후 갑작스럽게 두통, 오한, 발열, 허탈, 전..

신체건강 2023.10.10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RE) 감염은 항생제 과다사용 결과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감염은 광범위한 항생제 반코마이신에 내성을 보이는 장알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입니다. 장알균은 위장관과 비뇨생식계 등에 존재하는 그람 양성균으로, 일반적으로는 무해합니다. 그러나 내성을 가지게 되면 심각한 감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감염 유병율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감염은 전 세계적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미국의 경우 병원 내 감염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2019년을 기준으로 병원 내 감염의 약 5%를 차지한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2. 원인 1) 항생제의 과도한 사용 반코마이신은 광범위 항생제로, 다양한 종류의 세균에 대해 효과가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반코마이신을 과도하게 사용하면 장알균이 반코마이신에 대해 ..

신체건강 2023.10.10

반응성 관절염 원인, 증상, 치료방법 알아보기

반응성 관절염은 세균 감염 이후에 발생하는 관절염을 말합니다. 주로 대장균, 임균, 클라미디아 크라이코마티스 등의 감염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반응성 관절염은 감염 부위와 가까운 관절에 염증을 일으키며, 통증, 부종, 뻣뻣함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1. 반응성 관절염 유병율 반응성 관절염의 유병율은 성인 인구의 약 0.1~1% 정도로 추정됩니다. 남성이 여성보다 약 2배 더 많이 발생하고, 북유럽과 북미에서 더 흔하게 발생합니다. 닥터피플 관절쎈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2. 원인 반응성 관절염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세균 감염 이후에 면역 체계의 이상 반응으로 인해 관절에 염증이..

신체건강 2023.10.10

바이러스 결막염, 눈이 충혈되고 눈곱이 낀다면 의심

바이러스 결막염은 눈의 결막에 바이러스가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결막은 눈의 흰자와 속눈썹을 덮고 있는 얇은 막으로, 눈물막을 생성하고 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바이러스 결막염은 결막에 염증을 일으켜 눈이 충혈되고 눈물이 흐르고 눈곱이 끼는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1. 바이러스 결막염 원인 1) 아데노 바이러스 : 가장 흔한 원인이며, 어린이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2) 엔테로 바이러스 : 장염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로, 어린이와 성인 모두에게서 바이러스 결막염을 일으킵니다. 3) 헤르페스 바이러스 : 성인의 바이러스 결막염의 주요 원인입니다. 4)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 독감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어린이와 성인 모두에게서 바이러스 결막염을 유발합니다. 아이리드 클리너 30매 눈꺼풀 세정제 청결..

신체건강 2023.10.10

무기폐, 흡연력이 있는 노인에게 치명적인 병

무기폐는 폐의 일부나 전체가 공기로 채워지지 않고, 폐포가 과도하게 팽창해 공기와 혈액의 교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질환입니다. 무기폐는 폐의 기능을 저하시켜 호흡곤란, 통증, 피로감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 무기폐 유병율 무기폐는 전 세계적으로 흔한 질환이며, 성인 인구의 약 10%가 무기폐를 앓고 있다고 합니다. 무기폐는 노인에게 흔하고, 65세 이상의 노인의 약 30%가 무기폐를 앓고 있다고 합니다. 2. 원인 1) 폐쇄성 무기폐 : 폐포 입구가 막혀 공기와 혈액의 교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만성 폐쇄성 폐질환, 기도 협착, 기도 폐쇄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 확장성 무기폐 : 폐포가 과도하게 팽창해 공기와 혈액의 교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

신체건강 2023.10.10

무균성 수막염, 감기로 오인하면 큰일나요!

무균성 수막염은 뇌와 척수막을 둘러싸고 있는 액체인 뇌척수액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무균성 수막염은 세균성 수막염과는 다르게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세균이 아닌 다른 요인들에 의해서 발생하게 됩니다. 유병율은 성인 인구의 약 1%, 5세 미만 어린이의 약 5%를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 무균성 수막염 원인 1) 바이러스 : 수두, 풍진, 홍역, 뇌염, 뇌막염을 유발하는 바이러스 등이 무균성 수막염을 일으킵니다. 2) 곰팡이 : 흙, 물, 식품 등에 존재하며, 호흡기, 피부, 소화기를 통해 감염될 수 있습니다. 3) 자가면역 :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크론병, 쇼그렌 증후군 등의 자가면역 질환은 면역 체계가 뇌와 척수막을 공격해서 무균성 수막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4) 약물 : ..

신체건강 2023.10.10

몽유병, 아동의 15%가 앓는 수면장애

몽유병은 수면 중 의식과 움직임이 부분적으로 유지되는 수면 장애입니다. 몽유병 환자는 잠을 자다가 깨어나지 못한 상태에서 걷거나, 말을 하거나, 행동을 하거나, 심지어 운전을 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몽유병은 안전사고와도 관련이 깊어 반드시 치료받아야 하는 질환입니다. 1. 몽유병 유병율 몽유병은 전 세계적으로 흔한 수면 장애입니다. 성인 인구의 약 3~5%가 몽유병을 앓을 만큼 흔합니다. 몽유병은 성인보다 아동에게 많이 발생하고, 10세 미만의 아동의 약 15%에서 몽유병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원인 1) 유전적 요인 : 가족력이 있으면 위험성이 증가합니다. 2) 뇌의 구조적 이상 : 뇌의 기저핵, 시상하부, 수면 중 뇌파를 조절하는 부위 등의 손상이 발생하면 몽유병을 앓을 수 있습니다..

정신건강 2023.10.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