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3/10/21 6

원추각막(keratoconus), 각막이 돌출된다고?

원추각막은 각막이 원뿔 모양으로 변형되어 발생하는 시력장애입니다. 각막은 눈의 앞부분을 덮고 있는 투명한 조직이며, 빛을 굴절시켜 망막에 상을 맺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원추각막이 발생하면 각막이 비정상적으로 얇아지면서 돌출되어 부정난시가 발생하는 진행성 질환입니다. 1. 원추각막의 원인 1) 유전적 요인 : 원추각막의 유전빈도는 6~8% 정도입니다. 2) 전신질환과의 관련성 : 아토피 질환과 관련성이 높고, 선천성 고관절 이형성증, 헐거운 눈꺼풀 증후군, 눈치아형성장애, 리이거증후군, 소진피형성저하증, 손발톱무릎뼈 증후군 등이 있을 경우 발병 위험이 높아집니다. 3) 눈비빔 : 눈을 지나치게 많이 비비면 각막에 충격을 가하게 되고 이로인해 각막의 구조적인 손상을 주게 되어 원추각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체건강 2023.10.21

원시(hyperopia), 가까운 물체가 흐릿하게 보인다면

원시는 가까운 물체가 잘 보이지 않고, 멀리 있는 물체는 잘 보이는 시력장애를 말합니다. 원시의 원인으로는 각막과 수정체에서 기인하는 안구의 굴절력에 비해 안구 전후의 길이가 짧아 망막의 뒤쪽에 물체의 상이 맺히기 때문에 먼 곳은 잘 보이지만 가까운 곳이 잘 보이지 않습니다. 1. 원시의 원인 1) 유전 : 가족력이 있는 경우 원시 발생 위험이 증가합니다. 2) 축성 원시 : 안구의 전후 길이가 짧아서 원시가 발생합니다. 3) 굴절성 원시 : 각막이나 수정체에서 빛을 굴절시키는 힘이 약해 원시가 발생합니다. 4) 다른 질환 : 당뇨병, 뇌졸중, 안구진탕증 등의 질환이 있을 경우 원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안구건조증 ; 눈이 건조한데 눈물을 많이 흘린다고? 안구건조증은 눈물의 양이 부족하거나, 눈물의 질..

신체건강 2023.10.21

용혈성 빈혈, 적혈구가 너무 많이 파괴되는 게 문제

용혈성 빈혈은 적혈구가 파괴되어 정상적인 수치보다 적기 때문에 발생하는 빈혈입니다. 적혈구는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데, 용혈성 빈혈로 적혈구가 부족하게 되면 결국 산소 공급도 부족해져서 빈혈외에 다양한 증상을 나타냅니다. 또한 적혈구의 노폐물인 빌리루빈이 정상보다 증가하므로 황달이 발생합니다. 적혈구는 골수에서 생성되고 100~120일 정도 생존해 산소를 인체 조직으로 운반하는 기능을 하다가 수명을 다하게 되면 비장에서 파괴됩니다. 1. 용혈성 빈혈 원인 1) 내인성 요인 : 적혈구 자체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게 됩니다. 적혈구의 구조적 이상, 적혈구 효소 이상, 적혈구막에 이상이 생기는 발작야간 혈색소뇨증 등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외인성 요인 : 적혈구가 외부 요인에 의해 파괴됨으로 발생하..

신체건강 2023.10.21

아세틸콜린, 기억과 운동의 핵심 신경전달물질

아세틸콜린은 뇌와 신경계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입니다. 기억, 운동, 학습, 인지, 감정 등의 다양한 기능에 관여하고 있습니다. 아세틸콜린은 뇌의 전두엽, 해마, 편도체, 척수 등에 많이 분포하고, 신경세포 사이의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1. 아세틸콜린 분비기전 아세틸콜린은 신경세포의 축삭 말단에서 아세틸CoA와 콜린을 결합해 합성됩니다. 아세틸CoA는 세포 호흡의 과정에서 생성되며, 콜린은 음식물을 섭취해서 획득하게 됩니다. 이 둘이 합성되면 신경세포의 축삭 말단에서 방출됩니다. 이렇게 방출된 아세틸콜린은 시냅스 후 신경세포의 가지돌기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게 됩니다. 이렇게 결합이 발생하게 되면 시냅스후 신경세포에서 전기활동이 시작되면서 정보를 전달하게 됩니다. 2. 기능 1) 기억 : 아세..

신체건강 2023.10.21

뇌신경 종류와 기능, 해부학적 경로

뇌는 척수와 뇌신경 12쌍의 두 가지 경로를 통해 몸의 다른 부분과 정보를 교환하게 됩니다. 뇌신경은 가장 위에서부터 시작해서 1번부터 12번까지 쌍으로 존재합니다. 대부분의 신호는 뇌의 바닥에서 시작해서 두개골의 구멍을 통해 빠져나가 머리와 목에 위치한 감각기관과 근육으로 이어집니다. 단, 미주신경은 머리와 목뿐 아니라 흉강, 복강의 많은 장기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부신경 같은 경우는 목신경에서 나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 후각신경 1) 기능 : 후각기능 2) 경로 : 비강에서 뇌의 후구(후각망울)까지 연결 2. 시각신경 1) 기능 : 시각기능 2) 경로 : 눈에서 시상과 중뇌까지 연결 3. 동안신경 1) 기능 : 운구 움직임 2) 경로 : 중뇌부터 모든 안구운동 근육, 눈꺼풀을 올리는 근육,..

신체건강 2023.10.21

변연계(둘레계통) 구조와 기능, 변연계 질환

변연계는 뇌의 중심부에 위치한 구조물로 감정, 기억, 학습, 동기부여 등의 기능을 담당합니다. 변연계는 뇌의 다른 영역과 아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뇌의 전반적인 기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됩니다. 1. 변연계의 구조 1) 편도체 : 감정과 기억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2) 해마 : 기억과 관련된 역할을 합니다. 3) 시상하부 : 호르몬 분비와 인간의 생체 리듬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4) 대뇌피질 : 감각, 운동, 인지 등의 기능을 담당하며 뇌의 가장 바깥쪽 부분을 말합니다. 5) 띠이랑 : 대뇌의 전두엽과 두정엽의 경계에 위치한 뇌회로, 뇌의 중앙을 가로질러 좌우로 연결됩니다. 6) 뇌활 : 측두엽에 위치한 구조물로, 새로운 정보를 기억하고, 기존 정보를 불러내는 역..

신체건강 2023.10.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