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3/10/30 5

종기(furuncle), 항생제를 먹어야 되나? 말아야 되나?

종기는 모낭과 그 주변 조직에 발생하는 화농성 염증으로, 피부 표면에 붉은색의 고름이 차오르는 피부질환입니다. 종기는 주로 얼굴, 목, 어깨, 덩덩이, 허벅지 등에 발생하며, 특히 피지 분비가 많은 부위게 잘 생깁니다. 1. 종기의 원인 종기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포도알균 감염입니다. 포도알균은 사람의 피부나 코안 등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세균이지만, 면역력이 감소되었거나 피부 손상이 있는 경우 체내로 침입해 감염을 유발합니다. 종기를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피부 손상 : 긁거나 따는 등의 피부 손상이 발생하면 세균 침입이 쉬워집니다. 2) 면역력 저하 : 당뇨, 암, 만성질환 등으로 면역력이 저하된 경우 종기가 잘 생깁니다. 3) 영양 결핍 : 비타민 A, C, E 등의 영..

신체건강 2023.10.30

절박유산, 유산이 되지 않으려면..절대 안정

절박유산은 임신 20주 이전에 자궁의 수축이 시작되어 태아가 자궁 밖으로 빠져나올 가능성이 높은 상태를 말합니다. 절박유산은 유산의 가장 심각한 단계로,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1. 절박유산 원인 1) 염증성 질환 : 자궁내막염, 자궁근종염, 골반염 등의 염증성 질환이 절박유산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2) 호르몬 이상 : 프로그게스테론의 분비가 부족하거나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과다일 경우 절박유산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3) 유전적 요인 : 가족 중 유산 경험이 있는 경우 절박유산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4) 외상 : 외부 충격이나 자궁 내 수술로 인해 절박유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증상 1) 출혈 : 절박유산의 가장 흔한 증상은 질 출혈입니다. 출혈은 갑자기 시작될 수 있고, 서서히 시작될 수도..

신체건강 2023.10.30

전정신경염 원인, 증상, 진단, 치료, 전정재활운동

전정신경염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전정신경에 염증이 발생해 심한 어지럼증과 메스꺼움을 느끼고 균형 잡기가 힘들어지는 질환을 말합니다. 전정신경은 귀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평형기관으로 균형감각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전정신경염이 발생하면 한쪽 전정신경의 기능이 마비되어 균형 감각이 상실됩니다. 1. 전정신경염의 유병율 성인에서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으로, 연령에 관계 없이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40~60대에서 흔합니다. 2. 원인 아직까지 명확한 원인을 밝혀내지 못했지만, 가장 유력한 원인으로 바이러스 감염이라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감기, 독감, 수두, 홍역, 풍진 등의 바이러스 감염이 전정신경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헤르페스 바이러스, 파보바이러스, 콕사키바이러스,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

신체건강 2023.10.30

저나트륨혈증, 혼수 상태에 빠질 수도..

저나트륨혈증은 혈중 나트륨 농도가 135 mEq/L 미만으로 떨어진 상태를 말합니다. 나트륨은 체내의 수분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전해질입니다. 저나트륨혈증이 발생하면 혈액이 묽어지고 뇌세포가 붓게 됩니다. 이는 두통, 오심, 구토, 흥분, 혼수상태, 심지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심각한 상태를 초래합니다. 1. 저나트륨혈증 원인 1) 체내 나트륨 양의 감소 이뇨제를 사용하거나, 구토, 설사, 췌장염, 장관폐쇄, 과도한 발한, 출혈 등으로 인한 수분 손실이 발생했을 때 위험성이 증가합니다. 요붕증으로 신장에서 나트륨을 적게 배설하거나, 신부전으로 나트륨을 배설하는 능력이 저하된 질환에서 저나트륨혈증을 보입니다. 2) 체내 수분양의 증가 갑상선 기능 저하증으로 신장의 수분 배설이 감소하거나, 간경화..

신체건강 2023.10.30

전립선암, 전립선 특이항원 PSA 매년 검진으로 확인

전립선암은 남성의 전립선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입니다. 전립선은 남성 생식 기관으로 남성에게 가장 흔히 발생하는 암 중에 하나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22년을 기준으로 전립선암의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105.3명으로 상당히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1. 전립선암 원인 1) 연령 : 나이가 들수록, 특히 50세 이상의 남성에서 발생 위험이 급격하게 증가합니다. 2) 가족력 : 가족력이 있는 경우 전립선암 발생 위험이 증가합니다. 3) 비만 : 비만한 남성의 경우 전립선암이 걸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4) 고지방 식단 : 고지방 식단을 섭취하는 남성은 그렇지 않은 남성이 비해 위험성이 높습니다. 2. 증상 국소암일 경우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아 50세 이상이라면 전립선 특이항원과 직장수지검사를 통..

신체건강 2023.10.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