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3/11/04 6

프로작, 우울증 치료에 효과적인 약물

프로작은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계열의 항우울제로,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세로토닌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프로작은 1987년 미국 FDA의 승인을 받은 최초의 SSRI 계열 항우울제입니다. 그 이후로 우울증, 강박장애, 공황장애 등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프로작은 우울증의 증상인 우울한 기분, 무기력감, 식욕 변화, 수면 장애 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강박장애의 증상인 강박적 사고와 행동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공황장애의 증상인 공황 발작을 예방하고 치료합니다. 1. 프로작의 약리작용 프로작의 주성분은 플루옥세틴으로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억제해 세로토닌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세로토닌은 뇌에서 기분, 감정, 행동 등을 조절하는 신경전달물질로, 세..

정신건강 2023.11.04

벤라팍신(이펙사), 우울증과 불안을 치료하는 약

벤라팍신(Venlafaxine, 이펙사)은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 계열의 항우울제입니다.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억제해 두 신경전달물질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함으로써 우울증, 불안장애, 공황장애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1. 벤라팍신의 약리작용 벤라팍신의 주성분은 벤라팍신 엑세틸로,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억제해 두 신경전달물질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은 뇌에서 기분, 감정, 행동 등을 조절하는 신경전달물질입니다. 두 신경전달물질의 농도가 낮으면 우울증, 불안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벤라팍신은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농도를 증가시켜 이러한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2. 효능 벤라팍신은 다음과..

정신건강 2023.11.04

우울증약, 렉사프로(Lexapro),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렉사프로는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계열의 항우울제로,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억제해 세로토닌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우울증, 공황장애, 범불안장애, 사회불안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1. 렉사프로 약리작용 렉사프로의 주성분은 에스시탈로프람으로,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억제해 세로토닌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세로토닌은 뇌에서 기분, 감정, 행동 등을 조절하는 신경전달물질로, 세로토닌의 농도가 낮으면 우울증, 불안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렉사프로는 세로토닌의 농도를 증가시켜 이런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2. 효능 1) 우울증 2) 공황장애 3) 범불안장애 4) 사회불안장애 5)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3. 부작용 1) 구역, 구토, 설사 2..

정신건강 2023.11.04

치핵, 항문 질환의 대표 주자

치핵은 항문 내부의 혈관이 부풀어 오른 질환입니다. 치핵은 내치핵과 외치핵으로 나눌 수 있고, 내치핵은 항문 안쪽에, 외치핵은 항문 바깥쪽에 발생하게 됩니다. 1. 치핵 원인 치핵의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1) 변비나 설사 : 변비나 설사로 인해 항문 주위의 혈관에 압력이 가해지면 치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과도한 힘주기 : 배변 시 과도하게 힘을 주면 항문 주위의 혈관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치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임산과 출산 : 임산과 출산으로 인해 항문 주위의 혈관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치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비만 : 비만으로 인해 복압이 증가하면 항문 주위의 혈관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치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신체건강 2023.11.04

침샘암, 입안의 악성종양

침샘암은 침샘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입니다. 침샘은 혀 아래, 턱 아래, 귀 앞쪽에 있는 작은 기관으로, 침을 분비하는 역할을 합니다. 침샘암은 침샘의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이하선(귀밑샘)에서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1. 침샘암의 원인 침샘암의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1) 흡연은 침샘암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2) 타석증이나 만성 염증을 오래 앓은 경우 위험성이 증가합니다. 2. 증상 1) 침샘 부위의 덩어리 2) 통증 3) 감각 이상 4) 붉어짐 5) 부종 ※ 침샘암이 진행되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얼굴 이상 감각 2) 얼굴 경련 3) 이가 흔들림 4) 눈꺼풀 처짐 3. 진단검사 환..

신체건강 2023.11.04

조현병 고위험 환자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길이 열리다

조현병은 한 번 발병하면 잘 낫지 않고 만성으로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조현병은 조기 발견해서 조기에 치료하면 그나마 만성으로 넘어가지 않고 완치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집니다. 따라서 조기발견이 상당히 중요합니다. 서울대병원 연구팀에서 조현병 전단계 및 초기 조현병 환자의 미세한 뇌조직 변화를 질감 분석을 통해 포착했다고 합니다. 그동안 일반적인 뇌영상 분석으로는 확인을 하지 못했던 아주 미세한 이 변화는 조현병을 조기진단 하는데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할 것 같습니다. 1. 질감분석이란? 질감분석은 MRI 영상을 구성하는 작은 3차원 단위 중 인접한 단위들의 상호관계를 조사해 질감 특성을 분석하는 기법이라고 합니다. 이 기법은 뇌조직의 부피 변화와 신호 강도에 기반한 분석으로는 감지하기 어려웠던..

정신건강 2023.11.0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