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3/11/20 4

스트레스 호르몬; 코티솔의 작용과 분비 기전

부신겉질의 가장 큰 부분인 다발층에서 합성되는 당질코르티코이드는 인체가 받는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작용을 합니다. 가장 흔한 당질 코르티코이드는 코티솔로 약 95%를 차지하고, 히드로코티손, 코르티코스테론 등이 5%를 차지합니다. 1. 코티솔의 작용 코티솔의 가장 중요한 작용은 당대사에 영향을 주어 혈중 포도당 농도를 조절하는 것입니다. 코티솔 수용체는 몸속의 거의 모든 조직에서 발견되고, 저혈당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모든 대사가 진행됩니다. - 단백질을 분해하여 포도당신생의 기질로 사용합니다. - 간에서 포도당신생과 글리코겐분해를 통해 혈당농도를 증가시킵니다. - 지방분해를 촉진시켜 지방산은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글리세롤은 포도당신생에 사용합니다. -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작용을 합니다. - 소장에서 칼슘..

신체건강 2023.11.20

솔방울샘, 멜라토닌, 계절성 우울증과 광선치료가 연관이 있다고?

솔방울샘은 솔방울처럼 보이는 매우 작은 구조로, 사이뇌(간뇌)의 뒤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솔방울샘은 멜라토닌 호르몬을 분비하는데, 멜라토닌은 솔방울샘의 신경분비세포에서 분비되어 인체의 전반적인 기능을 조절하게 됩니다. 멜라토닌 수치는 하루 중 햇빛이 변하는 정도에 따라 높아지거나 낮아지는데, 이를 일주기 리듬이라고 합니다. 햇빛이 없을 때 멜라토닌 수치는 높아짐으로써 수면을 유발하게 되고, 햇빛이 있을 때는 낮아져 각성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솔방울샘과 멜라토닌은 인체의 생물학적 시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습니다. 햇빛이 있을 때 분비가 억제되는 멜라토닌은 사람의 기분에도 영향을 상당히 많이 미칩니다. 심한 우울증을 초래하는 계절성 정동장애는 솔방울샘과 관련성이 높습니다. 계절성 정동장애 환자는 증상이 심해..

신체건강 2023.11.20

부신겉질과 부신속질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종류별 기능

부신은 콩팥 위에 위치해 콩팥을 모자처럼 덮고 있습니다. 부신의 바깥 부분을 부신겉질(부신피질)이라고 하고, 안쪽을 부신 속질(부신수질)이라고 합니다. 1. 부신겉질 부신겉질은 바깥, 중간, 안쪽의 3개 층으로 구성됩니다. 바깥층 세포는 염류코르티코이드라 불리는 호르몬을 분비합니다. 중간층에서는 당류코르티코이드를 분비하고, 가장 안쪽 층은 소량의 당류코르티코이드와 성호르몬을 분비합니다. 1) 염류코르티코이드 체내 전해질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그중 알도스테론은 매우 중요한 염류코르티코이드입니다. 혈액 내 나트륨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콩팥에서 나트륨 재흡수를 증가시킵니다. 나트륨 이온은 소변에서 칼륨이나 수소 이온과 교환되어 혈액으로 재흡수됩니다. 알도스테론은 혈중 나트륨 농도를 조절하고, 혈중 칼..

신체건강 2023.11.20

이자섬의 내분비 호르몬; 글루카곤, 인슐린, 소마토스타틴 등

이자는 길쭉한 샘으로 길이는 약 12~15cm이고 무게는 100g까지 나갑니다. 이자는 내분비 조직과 외분비 조직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내분비 조직으로는 이자섬, 즉 랑게르한스섬이라 불리는 세포가 산발적으로 흩어져 아주 작은 섬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자섬은 이자의 약 2~3% 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외분비 조직으로서의 이자섬은 샘꽈리라 불리는 외분비 세포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샘꽈리는 소화효소를 포함하는 액체를 관을 통해 작은 창자로 분비하게 됩니다. 1. 이자 호르몬 100만 ~ 200만 개에 정도의 이자섬은 4가지 종류의 내분비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 틈새이음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각각 다른 호르몬을 분비하게 됩니다. 1) 글루카곤 알파세포에서 생성되는 글루카곤은 간세포에 저장된 글리코..

신체건강 2023.11.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