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체건강 598

옴(scabies), 전염성이 아주 강한 동물기생충성 피부질환

옴은 사람의 피부에 기생하는 옴 진드기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질환입니다. 옴 진드기는 사람의 피부 각질층 내에 산란하기 때문에 가려움, 발진, 붉은 반점 등의 증상이 발현됩니다. 옴은 전염성이 매우 강한 질환이기 때문에 밀접한 접촉을 통해 쉽게 전파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1. 옴의 원인 옴 진드기에 의해 감염되는 동물기생충성 피부질환입니다. 옴 진드기는 사람의 각질층 내에 기생하고, 산란하기 때문에 피부 가려움이 심하고, 발진이나 붉은 반점을 보입니다. 옴 진드기는 사람의 피부 각질층 아래에 굴을 파고 들어가며, 이 굴 속에서 알을 낳고 성충이 되기까지 약 2주가 소요되며 이 기간 동안 가려움과 발진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2. 증상 1) 가려움증 : 각질층 내에 굴을 만들고 이 때 진드기에서 나..

신체건강 2023.10.20

영아 산통(infantile colic), 한밤 중에 발작적으로 울고 보챈다면

영아 산통은 생후 3주에서 4개월 사이 영아에게 나타나는 갑작스러운 울음과 보챔이 하루 3시간, 최소 한 주 동안 3회 이상 반복되는 질환입니다. 영아 산통은 소화기계의 미숙함과 관련이 있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1. 영아 산통 원인 1) 소화기계의 미숙함 영아의 소화기계는 아직 미숙하기 때문에, 음식을 소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가스와 복부 팽만감이 발생해 영아의 산통을 유발합니다. 2) 분유 유단백 또는 유당에 민감한 영아 모유 수유를 하지 않고 분유를 먹이는 경우에는 분유에 포함된 유단백 또는 유당에 민감한 영아에게서 분해되지 않은 성분들로 인해 복부 팽만감과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3) 장 내 가스 수요 중 공기를 과도하게 삼키거나 배에 가스가 많이 찼을 경우 영아 산통..

신체건강 2023.10.20

열성경련이 있는 아이, 응급대처방법 알아두기

내 아이게에 열성경련이 발생하게 되면 우리는 당황하고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합니다. 열성경련은 대부분 수분 안에 자연스럽게 멈추게 되고 별다른 합병증을 남기지 않습니다. 따라서 우왕좌왕하지 말고 가정에서 할 수 있는 응급대처 방법을 숙지해서 실천하시기 바랍니다. 1. 아이를 안전한 곳에 눕힙니다. 경련이 발생하는 동안 아이가 다치지 않도록 안전한 곳에 눕혀야 합니다. 낙상의 우려가 있으니 침대보다는 바닥이 더 안전합니다. 2. 위험한 물건은 치워주세요. 아이가 경련을 하는 동안 다칠 수 있기 때문에 아이 주변에 있는 위험한 물건은 모두 치워주세요. 3. 아이의 머리를 옆으로 살짝 돌려주세요. 머리가 천정을 보고 있는 상태에서 구토를 하게 되면 토물이 기도로 들어가서 흡인성 폐렴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

신체건강 2023.10.20

열성경련, 5분 이상 지속되는 경련은 위험

열성경련은 생후 9개월에서 5세 미만 소아에게 열(fever)로 인해 발생하는 경련을 말합니다. 열성경련은 흔한 질환이고, 5세 미만 소아의 약 3~4% 정도가 경험한다고 합니다. 1. 열성경련 원인 1) 유전 : 가족력이 있는 경우 위험성이 증가합니다. 2) 발열 : 감기, 독감, 편도염, 인후염, 중이염, 급성기관지염, 뇌염, 뇌수막염 등으로 인해 고열이 발생하면 열성경련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부분 열성 경련을 유발하는 열성 질환은 약 70%가 바이러스성 상기도 감염으로 편도염, 인후염, 중이염이 대부분입니다. 그 외에도 돌발진이나 위장염도 유발요인이 됩니다. 3) 뇌의 발달 : 5세 미만 소아의 뇌는 발달을 하고 있는 중이기 때문에 열로 인해 뇌가 과민하게 반응하면 경련을 일으킬 수 있습니..

신체건강 2023.10.19

역류성 식도염, 식사 후 바로 눕지 마세요

역류성 식도염은 위산이 식도로 역류해 식도 점막에 염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성인의 약 10~30%가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 1) 식도의 하부괄약근의 기능 저하 식도의 하부괄약근은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는데, 이 괄약근의 기능이 저하되면,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게 됩니다. 2) 위산 증가 위산이 증가하면,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기 쉽습니다. 위산 증가는 스트레스, 흡연, 음주, 과식, 급식, 맵고 짠 음식 섭취, 과도한 운동, 임신, 특정 약물 복용 등이 유발요인이 됩니다. 3) 식도 내압의 저하 : 과체중, 비만, 임신 등으로 식도 내압이 저하되면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기 쉽습니다. 2. 증상 1) 가슴쓰림 : 가장 흔한 증상이며, 가슴 중앙 부위..

신체건강 2023.10.19

야경증, 자다가 깨서 소리를 지르고 운다면?

야경증은 잠을 자다가 갑자기 깨어나서 소리 지르고, 행동하는 질환입니다. 야경증은 수면장애 중 하나로, 비렘(NREM) 수면기 중 수면 초반 1/3 앞쪽에 일어나는 수면장애로 주로 소아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1. 야경증의 원인 야경증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다만, 정서적 불안, 스트레스, 수면부족, 고열, 약물, 과로 등이 유발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2. 증상 야경증은 일반적으로 10~12세 이전에 시작되고, 야경증이 5세 이전에 시작되는 경우 다른 수면장애나 정신질환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1) 잠을 자다가 갑자기 깨어남 2) 소리지르거나 울음 3) 공포에 질린 표정 4) 혼란스러운 행동 5) 깨어나면 자신의 행동을 기억하지 못함 6) 몽유병 또는 야뇨증과 동반되기도..

신체건강 2023.10.19

액취증, 겨드랑이에서 나는 고약한 냄새

액취증은 겨드랑이에서 나는 고약한 냄새입니다. 액취증은 겨드랑이의 아포크린선에서 분비되는 땀이 세균에 의해 분해되면서 발생합니다. 액취증은 겨드랑이뿐 아니라 귀, 엉덩이, 생식기 등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액취증의 원인 1) 아포크린선의 과도한 분비 아포크린선은 겨드랑이, 귀, 엉덩이, 생식기 등에 존재하는 땀샘입니다. 아포크린선은 일반적으로 약간 냄새가 나는 땀을 분비하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일부 사람들의 경우 아포크린선이 과도하게 분비되어 냄새가 심해질 때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2) 세균 분해 아포크린선에서 분비되는 땀은 세균에 의해 분해되면서 냄새를 풍깁니다. 일부는 세균이 땀을 분해하는 능력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냄새가 더 심할 수 있습니다. 3) 유전 가족 중 액취증이 있는 경..

신체건강 2023.10.19

압박골절 ; 골다공증이 있는 노인은 아주 위험한 골절

압박골절은 뼈가 눌려서 부저리는 골절입니다. 압박골절은 뼈가 눌리는 힘이 강할 때 발생하며, 주로 척추뼈의 앞기둥에서 발생합니다. 압박골절은 뼈가 납작하게 눌려서 부러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1. 압박골절 원인 1) 낙상 : 낙상 시 축추에 큰 충격이 가해져 압박골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사고 : 교통사고, 산업재해 등 사로로 인해 척추에 큰 충격이 가해지면 압박골절이 위험성이 증가합니다. 3) 질병 : 골다공증, 퇴행성 척추 질환, 종양 등이 있는 경우 압박골절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집니다. 2. 증상 1) 통증 : 가장 흔한 증상으로, 통증은 척추 부위에서 발생하고, 심한 경우 앉거나 서 있기가 어려울 정도로 심할 수 있습니다. 2) 감각 이상 : 압박골절로 척추 신경이 손상되면, 배뇨 곤란 등 ..

신체건강 2023.10.19

안구건조증 ; 눈이 건조한데 눈물을 많이 흘린다고?

안구건조증은 눈물의 양이 부족하거나, 눈물의 질이 저하되어 눈이 건조하고 불편한 증상을 보이는 질환입니다. 안구건조증은 흔한 질환으로 성인의 약 10% 정도에서 경험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1. 안구건조증의 원인 1) 노화 : 노화로 인해 눈물샘의 기능이 저하되어 발생합니다. 2) 눈물샘 질환 : 눈물샘에 염증이나 종양이 발생하면 눈물의 분비가 감소될 수 있습니다. 3) 약물 : 항히스타민제, 항우울제, 항암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약물 부작용으로 인해 안구건조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환경적 요인 : 건조한 환경, 강한 바람, 에어컨, 난방기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해 안구건조증이 발생합니다. 5) 자가면역질환 : 루푸스, 쇼그렌 증후군 등의 질환이 있을 경우 안구건조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

신체건강 2023.10.19

삼차신경병증, 얼굴에 느껴지는 극심한 통증

삼차신경병증은 삼차신경에 손상을 입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삼차신경은 얼굴의 감각을 담당하는 뇌신경으로, 손상을 입으면 얼굴에 극심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삼차신경병증의 원인 대상포진,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 암, 다발경화증, 루푸스, 당뇨병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사고나 수술, 항암제, 항고혈압제, 항우울제 등도 삼차신경병의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증상 1) 얼굴 통증 삼차신경의 분지 중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통증이 발생하고, 통증은 찌르는 듯, 타는 듯하고, 화끈거리는 통증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통증은 얼굴 한쪽에만 발생하거나 양쪽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통증은 자극 없이도 발생할 수 있고, 음식을 먹거나, 말을 하거나, 칫솔질을 하거나, 얼굴을 만지는 등의 자극..

신체건강 2023.10.18
반응형